Amazon ECR/ECS 란 무엇일까?
·
카테고리 없음
서론컨테이너 기술은 애플리케이션 배포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DevOps 및 CI/CD 파이프라인과 연계하여 빠른 배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주변 여러 프로젝트에서도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기술을 많이 이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AWS에서 지원하는 컨테이너 기술인 ECR과 ECS에 대해 알아볼 것이며, 그에 앞서 ECR과 ECS의 핵심 기술인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컨테이너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실행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하나로 패키징하는 기술이다.VM(가상 머신)과 비교해서 이식성, 확장성이 뛰어나,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 매우 많이 이용된다.대표적으로 Docker가 있다.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은 수많은 컨테..
HTTP 상태 코드 분석과 보안 측면 고찰 (401 / 403 / 404)
·
카테고리 없음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어떻게 거부해야 할까?지난 해 처음 해보는 팀 프로젝트에서 백엔드 파트로 참여하면서, 여러 고민을 했던 경험이 있다.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클라이언트에 반환할 상태 코드 관련 고민이었다. 우리 프로젝트에서는 권한이 Member와 Admin으로 나뉘어 있었다.RentalStatus는 Member/Admin 둘 다 접근 가능한 필드였으나, 각자 변경할 수 있는 Status가 달랐다.그래서 Service Layer에 Validation 로직을 길게 짜지 말고, Validation을 dto에서 처리해보면 어떨까 하고 씨름해보았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본인 권한에 맞지 않는 Status로 변경하면 어떤 상태코드를 반환해야 할지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적절한 상태코드를 생각하지 못한 관계로..